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Shimsuri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Shimsuri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5)
    • Aquarium (13)
    • Plants (1)
    • Travel (0)
    • Car (1)
  • 방명록

Aquarium (13)
스칼렛 바디스(Dario Dario)

해외 직수입을 하는 업체가 아니면 구하기 힘든 어종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구피와 같이 숫컷만 화려하여 암컷이 인기가 없고 사료 순치가 어려워 생먹이를 꾸준하게 공급하지 못한다면 키우기 어렵다고 봐야겠다. 오늘 내가 스칼렛 바디스(Dario Dario)를 소개하고자 하는 이유는 스칼렛 바디스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있어 정보 공유를 하고자 한다. 최근 지방의 유명 수족관에서 거창하게 스칼렛 바디스를 소개하여 인기를 얻었는데 그 유명 수족관에서도 스칼렛 바디스를 시클리드과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시클리드 중 소형이고 온순하여 합사가 된다고 광고 하고 있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스칼렛 바디스는 조기어강 등목어목 바디스과 다리오속 으로 조기어강 키클라목 키클라과를 총칭하는 시클리드와는 완전 다른 계통의 어류이..

Aquarium 2018. 5. 11. 01:39
관상어 생먹이 종류

갑각류브라인쉬림프국내 생먹이 중 실지렁이와 함께 가장 인기 있는 먹이로 작은 물고기나 치어에게 주로 급이 한다. 염도가 있는 물에서 부화시키므로 민물어종에게는 먹이로 인한 질병에 대한 걱정을 덜어준다. Water Fleas배양을 통해 7~10일 마다 먹일 수 있는 탁월한 보충 식품이다. 물벼룩Cyclops는 치어와 작은 물고기를 위한 좋은 음식이다. River Shrimp(Gammarus)큰 물고기, 그중 시클리드를 위한 생먹이이다. 웜블랙웜농장에서 주로 배양해서 상품화하여 판매하는 웜으로 실지렁이보다 훨씬 깨끗하다. 실지렁이(Tubifix worm)진흙 투성이의 오염 된 물에서 서식하며 기생충과 병균을 보유 할 가능성이 높으며 유익한 영양 성분이 적어 물고기 음식으로 추천 할 이유가 없다. 바닥재 속을..

Aquarium 2018. 3. 20. 00:41
에어스톤(콩돌, airstone) 청소 방법

에어스톤(콩돌, airstone)은 물의 순환, 여과기의 일부 부품, 용존산소량 상승을 위한 목적 등으로 필수 아닌 필수 제품 중 하나이다. 에어스톤(콩돌, airstone)은 사용 시간에 비례하여 에어스톤 내부 기공이 막히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부담 없는 가격인 경우는 정기적으로 교환을 하는 것이 좋겠지만 일부 고가의 에어스톤이나 대체품이 없을 시 청소를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에어스톤(콩돌, airstone) 청소 방법1. 담수에 에어스톤을 헹구고 외부에 과도하게 쌓인 이물질을 가볍게 제거 후 완전 건조시킨다.2. 깨끗한 물에 에어스톤을 10동안 삶은 후 다시 말린다.3. 표백제(락스 등)를 희석한 물(1:3)에 하루 동안 담근다. 평소 심하게 막히는 에어스톤은 이틀을 담근다.4. ..

Aquarium 2018. 3. 1. 10:39
브라인쉬림프(알테미아, Artemia, Brine shrimp) 종류

Artemia salina(or tunisiana) 영국(멸종), 지중해Artemia parthenogenetica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Artemia urmiana 이란Artemia sinica 중앙아시아, 동아시아Artemia persimilis 아르헨티나Artemia franciscana 미국, 카리브해, 태평양군도Artemia sp. 카자흐스탄 채집 장소별 알의 차이채집장소 길이(마이크로미터) 건조중량(마이크로그램) 에너지량(0.001J) San Francisco Bay,USA 428 1.63 366 Great Salt Lake,USA 486 2.42 541Shark Bay,Australia 458 2.47 576Chaplin Lake,Canada 475 2.04 448 Tanggu, B..

Aquarium 2018. 1. 26. 01:37
수초 비료(fertilizer) 만들기

수초(aquarium plants)도 식물이다 보니 비료(fertilizer)를 주는 것이 성장에 좋다.수초용으로 생산되는 비료는 용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가격 형성대가 높다.수초용에 비해 육지에 사용되는 비료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것은 확실한데 가격만 보고 성분을 확실하게 알지 못한다면 수조 내 생물의 죽음으로 득보다는 실로 다가 올 것이다.그렇다면 수초 전용 비료보단 저렴하면서 수조에 독이 안되는 비료와 그 사용법을 알아보겠다. 수조 내에 안전하다고 증명되어진 비료에는 오스모코트(Osmocote)가 있는데 플러스가 붙은 상품이 더 좋다고 한다. 오스모코트 플러스는 일반적인 화초류에서도 성능이 뛰어나다고 정평이 있는 비료로 수조내 생물에도 무해하고 효과 또한 좋다. 수초용 전용 비료는 액상형태와 ..

Aquarium 2017. 11. 27. 01:57
수조에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사용하기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는 우리 일상에서 소독제로써 훌륭한 역활을 한다. 상처가 났을 때 과산화수소로 닦게 되면 하얀 거품이 뽀글뽀글 올라오는 것을 한번쯤 경험 해봤을 것이다.그런 과산화수소가 일상 생활에서 소독이라는 기능 외에 수조 내에서도 활용도가 높다는 걸 소개하고자 한다. 과산화수소(H2O2)는 분자구조에서 수소(H)2개 산소(O)2개로 이루어져 있다.이런 구조로 인해 세균이나 특정 물질 등을 산화시키면서 산소(O2)와 물(H2O2)로 바뀌게 되는데 이는 수조 내에서 해가 되는 물질이 남아있지 않기에 활용도가 높은약품이다. 적정 용량만 사용한다면 어떤 다른 화학용품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물생활을 가능케 할 것이다. 1. 이끼(Algae)제거이 글을 쓰는 가장 큰 이유 ..

Aquarium 2017. 11. 23. 18:43
약국에서 구입 할 수 있는 열대어 치료약

관상어를 키우다보면 종종 질병들에 시달리는 일이 생기고 그로인한 스트레스로 관상어를 키우는 것을 포기하게 된다.질병은 처음 입양에서부터 병에 걸린 개체가 환경적인 변화나 체력의 소진으로 발병 할 수도 있고 질병이 없던 수조환경이었는데 추가로 입양한 개체를 통해서나 그 개체를 들고 왔을 때 의 물을 통해서도 질병이 따라올 가능성이 크다. 또한 오염된 사람의 손이 수조 내에 들어갔을 때도 무시 할 수 없는 원인 중 하나이다.관상어뿐만 아니라 달팽이(Snail)나 수초 또한 검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수조에 들어갔다면 질병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 할 수는 없다. 치료나 검역을 위해서는 적절한 전문성 약품이 필요한데 국내 환경 상 열대어의 치료제를 구하려면 생각보다 어려움이 있다. 항생제와 기생충제거제의 오..

Aquarium 2017. 11. 22. 20:19
수조 조명 Finnex Planted+ 24/7

가성비가 좋은 수조등을 소개 하고자 한다. Finnex사의 Planted+ 24/7 이라는 조명인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초항을 위한 수조등이라 보여지는데 사용 느낌은 수초항에 좋기 보단 관상어에 더 좋은 느낌이다. 이 조명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간에 따라 빛의 광량과 빛의 색상이 다르게 나온다는 것이 다른 조명들과 차별이 되며 별도의 리모컨이 있어 편리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 시간 등을 설정 할 수 있다. 아래 동영상을 보면 썬라이즈 부터 썬셋 까지 그리고 해진 후의 표현을 이해하기 쉽다. Finnex Planted+ 24/7 from Finnex on Vimeo. 리모컨을 보게 되면 지금 기준으로 맞출 시간이 3시간 단위로 8개의 버튼이 있고 24/7 이란 버튼으로 자동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

Aquarium 2017. 11. 22. 01:38
본항에 프라지콴텔 투약하기

야생의 구피 혹은 막구피들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며 그 중 강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만이 살아 남기에 그 후손들도 비교적 강하다. 하지만 고정구피라는 인위적으로 특정 색상으로만 만들어진 구피의 경우 교배의 한정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유전자를 가지지 못해 종종 질병이 찾아온다. 그 질병 중 바늘꼬리병이란 것이 있는데 유전적으로 발병한다는 설과 수질 오염에 따라 생긴다는 설 등등 각자의 치료 방법이나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주장이 나오고 있다. 유전적 질병이나 수질오염에 대한 질병 외에 더 확실한 주장은 흡충에 의해 꼬리까지 혈액이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꼬리가 접히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바늘꼬리병에 걸린 구피의 표피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보면 흡충이 발견된다고 하니 그 주장을 뒷받하고 있다. 흡충 치료에..

Aquarium 2017. 11. 18. 23:08
조개물벼룩(ostracoda) 제거

개인적으로 납작달팽이(또아리물달팽이, Gyraulus convexiusculus) 보다 더 극혐인 생명체가 조개물벼룩(ostracoda, seed shrimp)이다. 깨같이 생긴 모습을 하고 있는데 폭번을 하게되면 수조 안에 엄청난 숫자가 자글자글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조개물벼룩을 없애기 위해서 보통 베타 혹은 구피가 먹는다던지 등등의 조언을 하는데 조개물벼룩을 먹는 구피나 베타는 정말 배고픈거나 미식어라 할 수 있다. 경험 상 구피는 확실하게 먹질 않았다. 흡입은 하는데 잠시 뒤 뱉어내는 걸 보아 딱딱한 껍질이 구피에겐 식사가 되지 않는 듯 하다. 징그러운 물속 벌레지만 나름 유익한 부분도 있다. 바닥재 구석구석 청소도 해주며 그사이를 파고들면서 바닥재 속의 물흐름도 만든다. 하지만 한두마리 ..

Aquarium 2017. 11. 15. 03:20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TAG
  • dwarf pufferfish
  • 버미큘라이트
  • 참숱
  • aristone
  • 프로젝트명 JS
  • Carinotetraodon travancoricus
  • 열대어
  • Fenbendazole
  • 에어스톤
  • 수초비료
  • 용토배합
  • 과산화수소
  • osmocote
  • dario dario
  • 피트모스
  • 오스모코트
  • 스칼렛 바디스
  • H2O2
  • Mebendazole
  • 청소
  • PRAZIQUANTEL
  • Hydrogen Peroxide
  • albendazole
  • Algea
  • 인디언복어
  • 화초류
  • 밭흙
  • 대나무류
  • 질방예방
  • 프라지콴텔
more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